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 야하고도 고급진 웃음으로 세상을 뼈 때리게 비판하는 조선의 하이개그
#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는 우리 옛사람들의 핵잼 우스개가 터진다!
# 「어면순」 첫 전자책 출간
「어면순(禦眠楯)」은 조선 시대의 문신 송세림이 고향인 태인 근교에 떠돌던 야담이나 우스갯소리를 모아 기록한 한문 소담집(笑談集)이다. 제목은 ‘잠을 막아주는 방패’로 풀이되는데, 잠이 달아날 만큼 재미있다는 뜻에서 붙였다.
23세에 장원 급제한 송세림은 두 차례의 병치레 때문에 관직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낙향한 뒤 이 책의 글을 썼다. 다만 그가 직접 출간하지는 않았다. 동생 송세형이 그 글들을 모아 1590년경 목활자본으로 세상에 내놓았다. 아쉽게도 이야기 88편이 모두 담긴 그 첫 판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어면순」은 이야기의 절반가량이 노골적인 성(性)과 연관된 탓에 당시 보수적인 많은 사람들로부터 강하게 비판받으며 졸작으로 폄하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게 한심한 책이 아니다. 품격 있는 풍자와 교훈적인 마무리를 비롯해 한글 표현으로 도저히 살릴 수 없는 웃음의 포인트를 한문 표현으로 독특하게 승화시켜 소담의 진수를 보여준다. 저속하다고 치부하기에는 문학적인 수준이 상당히 높다고 하겠다.
이번 전자책 작업에는 1958년 민속학자료간행회에서 나온 「고금소총」 유인본을 저본으로 사용했다. 상권에 20편, 하권에 62편의 이야기가 있는데, 다른 번역본들도 참조하며 그 원문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면서 총 82편을 순서대로 담았다.
저자소개
宋世琳. 1479-?.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헌중(獻仲), 취은(醉隱), 고은(孤隱), 고송(孤松), 눌암(訥庵). 1498년 진사에 이어 1502년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그러나 바로 상을 당해 슬퍼하다 병을 얻은 뒤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다. 이후 중년일 때 나라에 상소를 올려 발탁되면서 벼슬길에 올랐다가 홍문관교리 시절 다시 병을 얻어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림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주요 저서에 「어면순」이 있다.
대학에서 중국어와 중국 문학을 전공했다. 이후 어린이 책 등을 지으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국내외 고전에 관심을 두고 읽기 쉬운 우리말로 새롭게 옮기는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에 「천년의 우화 컬렉션」, 「지식 세포 시리즈」, 「더 그림 시리즈」 등이 있다.
*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회원리뷰를 작성해주세요.



< 어면순, 잠도 떨쳐버릴 이야기. 2(조선의 소담)ㅣ송세림 >

* 현재 책속 한문장이 없습니다. 책속 한문장을 작성해주세요.